조선의왕 3

조선왕조 실록 4대 세종(1418년~)

조선의 4대왕 세종의 역사입니다 세종 장헌 영문 예무 인성 명효 대왕(世宗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의 휘는 도(祹)요, 자는 원정(元正)이니, 태종 공정 대왕(太宗恭定大王)의 셋째 아들이요, 어머니는 원경 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이다. 태조(太祖) 6년 정축 4월 임진에 한양(漢陽) 준수방(俊秀坊) 잠저(潛邸) 에서 탄생하였으니, 명나라 태조 고황제(太祖高皇帝) 홍무(洪武) 30년이다. 영명(英明) 강과(剛果)하고, 침의(沈毅) 중후(重厚)하며, 관유(寬柔) 인자(仁慈) 공검(恭儉)하고, 또 효도하고 우애함은 천성이 그러하였다. 태종 8년 무자 2월에 충녕군(忠寧君)으로 봉하였고, 우부대언(右副代言) 심온(沈溫)의 딸과 결혼하여, 그를 경숙 옹주(敬淑翁主)로 봉하였다. 13년 임진 5월에 충녕 대군(忠..

지식정보 2022.05.25

조선왕조 실록 2대 정종(1399년~)

2대왕 정종의 기록은 매우 적게 남아있어서 내용이 아주짧습니다. 공정왕(恭靖王)의 휘(諱)는 이방과(李芳果)인데 즉위한 뒤에 이름을 경(曔)으로 고쳤다. 태조(太祖)의 둘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신의 왕후(神懿王后)이다. 타고난 자질이 온화하고 인자하고 공손하고 공경하며 용맹과 지략이 남보다 뛰어났다. 고려(高麗)에 벼슬하여 관직을 거듭해서 장상(將相)에 이르렀고 항상 태조를 따라 출정하여 공을 세웠다. 무인년 8월에 태조가 편찮았으므로 책봉(冊封)을 받아 왕세자(王世子)가 되고, 9월에 내선(內禪)을 받아 즉위하여 정사에 너그럽고 어진 것을 숭상하였다. 경진년 2월에 동모제(同母弟) 정안공(靖安公) 이 책봉을 받아 왕세자가 되었는데, 적자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해 겨울에 병이 있어 세자가 선양(禪讓)을..

지식정보 2022.05.25

조선왕조 실록 1대 태조 (1392년~)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잘아는듯 잘모르는듯 드라마나 영화에서 자주 접하는 단어입니다. 바로 "조선왕조실록" 지금부터 1대 태조부터 25대 철종까지의 실록에 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태조가 수창궁(壽昌宮)에서 왕위에 올랐다. 이보다 먼저 이달 12일에 공양왕(恭讓王)이 장차 태조의 사제(私第)로 거둥하여 술자리를 베풀고 태조와 더불어 동맹(同盟)하려고 하여 의장(儀仗)이 이미 늘어섰는데 시중(侍中) 배극렴(裵克廉) 등이 왕대비(王大妃)에게 아뢰었다. "지금 왕이 혼암(昏暗)하여 임금의 도리를 이미 잃고 인심도 이미 떠나갔으므로 사직(社稷)과 백성의 주재자(主宰者)가 될 수 없으니 이를 폐하기를 청합니다." 마침내 왕대비의 교지를 받들어 공양왕을 폐하기로 일이 이미 결정되었는데 남은(南誾)이 드디어 문..

지식정보 2022.05.25